교육과정안내
고객센터
1533-2157
평일 : 10:00 - 17: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요일 및 공휴일 휴무)
보육기관과정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메타교육](http://harangedu.com/data/course/1@1@핵심역량_증진을_위한_보육교사_메타교육.jpg)
과정상세정보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메타교육
고용보험 | 고용보험적용 | |
---|---|---|
교육시간 | 40시간 / 1개월 | |
내용 전문가 | 성본희 | |
교육비 | 121,770원 | |
기업 부담금 | 우선지원 | 23,140원 |
중견기업 | 34,100원 | |
대기업 | 77,940원 |
-
과정소개
본 과정은 모든 영유아 교육기관의 교직원이 기본업무 이해 및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을 익히고, 나아가 지속적인 훈련 과정을 통해 현장 적응 능력을 높이고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교육내용 중심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
학습대상
- 보육교사, 유치원 교사 등 영유아 교육기관의 종사자 등
-
학습목표
- 교육 · 보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미래사회 진단과 시대적 요구의 검토에 대해 이해한다.
-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 현장에 반영할 수 있다.- 영유아의 발달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영역별 발달 내용에 대해 이해한다.- 영유아 관찰의 다양한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영유아평가의 실제에 대해 이해한다.- 영유아의 관찰기록에 대해 이해하고 교수전략에 대해 이해한다.- 영유아간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해 이해하고 영유아와의 적절한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한다.- 놀이의 필요성에 대한 최근 경향에 대해 이해하고 놀이지도와 놀이치료를 위한 교사의 역할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 인성 및 인성교육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인성교육의 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창의성 발달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이해한다.- 기본생활지도 및 유의사항에 대해 이해하고 교육유형에 대해 이해한다.- 자기밖에 모르는 아이의 행동유형과 유형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지도법에 대해 이해한다.- 집단면담과 개별면담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고 불만이 있는 부모와의 면담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부모상담의 실제에 대한 학습을 통해 부모의 유형별 상담법을 알고 상황에 맞게 상담을 진행 할 수 있다.
-
교수소개
*내용전문가 성본희
<경력>
- 파밀리에 어린이집 (2010.08~2015.08)- 호반 2차 어린이집 (2015.05~현재)
<학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석사졸업 (2018.08)
-
학습내용
강좌 차시별 학습 내용 안내 표 차시 내용 1차시 보육의 이해 2차시 보육교사론 1 3차시 보육교사론 2 4차시 보육교사론 3 5차시 신생아 발달 6차시 0세의 발달 7차시 만1·2세 발달 8차시 만3·4세 발달 9차시 만5세 발달과 관찰의 실제 10차시 영유아 관찰과 평가의 실제 11차시 영아 관찰의 실제 12차시 만3·4세 관찰의 실제 13차시 영아와의 상호작용 14차시 유아와의 상호작용 15차시 상호작용의 촉진 16차시 자유선택 놀이에서의 상호작용 17차시 통합지표를 통해 본 영유아와 교사 간 상호작용 18차시 통합지표를 통해 본 영유아간 상호작용 시 교사의 역할 19차시 놀이의 발달 20차시 놀이지도 1 21차시 놀이지도 2 22차시 가정, 지역 그리고 숲과의 연계 23차시 놀이치료 1 24차시 놀이치료 2 25차시 문제행동 지도 26차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성 1 27차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성 2 28차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성 1 29차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성 2 30차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성 3 31차시 바른 성장을 위한 기본생활 지도 32차시 편식하는 아이를 위한 지도 1 33차시 편식하는 아이를 위한 지도 2 34차시 과식하는 아이를 위한 지도 35차시 배변 훈련 아이를 위한 지도 36차시 수면거부 아이를 위한 지도 37차시 비사회적 행동지도 1 38차시 비사회적 행동지도 2 39차시 부모면담 1 40차시 부모면담 2 -
평가기준
강좌 진도율, 시험, 과제, 진행단계평가 기준 안내 표 총 진도율 진행단계평가 최종평가 과제 80% 이상 10% 반영 90% 반영 0% 반영 반영된 진행단계평가, 최종평가, 과제 점수 평균 60점 이상